본문 바로가기
728x90

발길따라/국내여행797

남해 금산 보리암 .... 2005.08.01 보리암   683년 원효대사가 이곳에 초당을 짓고, 수도하면서 관세음보살을 친견한 뒤로 산 이름을 보광산, 초당 이름을 보광사라고 했다. 훗날 태조 이성계로부터 비단산(錦山)이라는 지금의 이름을 하사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1660년 현종이 이 절을 왕실의 원당으로 삼고, 절 이름을 보리암으로 바꿔 오늘에 이르고 있다. 금산의 정상에 자리 잡고 있는 보리암은 금산의 온갖 기이한 암석과 푸르른 남해의 경치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아름다운 절이다. 경내에는 원효대사가 좌선했다는 좌선대 바위가 눈길을 끌며, 부근의 쌍홍문이라는 바위굴은 금산 38경 중의 으뜸으로 알려져 있다. 강원도 낙산사 홍연암, 경기 강화도 보문사와 더불어 우리나라 3대 기도처의 하나로 신도들이 연일 줄지어 찾고 있으며, 영험 있는 기도.. 2025. 2. 20.
남해 상주해수욕장 .... 2005.08.01 남해(상주해수욕장)   반월형을 그리며 2km에 이르는 백사장의 모래는 매우 부드러워 마치 주단 위를 걷는 것 같은 감미로운 감촉을 느끼게 해 준다. 백사장을 감싸고 있는 송림은 잔잔한 파도와 완벽한 조화를 이루어 상주의 자랑거리다. 바닥의 기복이 적고 완만한 경사를 이루어 어린이들의 물놀이에도 안성맞춤이며, 가까운 곳에 다른 오염원이 없기 때문에 물이 맑고 깨끗하다. 부채꼴 모양의 해안 백사장과 눈앞에 펼쳐진 작은 섬들은 바다를 호수 모양으로 감싸고 있어 아늑하다. 구름에 싸인 금산을 배경으로 잔잔한 파도를 일으킨다. 2025. 2. 20.
남해 몽돌해변 .... 2005.08.01 천하마을 몽돌해변   3번 국도로 삼천포대교를 지나 미조에서 다시 19번 국도로 변경, 상주 방면으로 향한다. 해안가 몇 굽이를 돌고 돌아 어느 고개에 올라서면 내려다 보이는 몽돌해변 풍광으로 잠시 넋을 잃는다. 오목한 해안, 어촌마을, 그리고 우측으로  해송과 바위의 조화를 이룬 낙타봉, 조용하고 아름다운 경치에 머물고 싶은 마음이 인다. 몽돌해변 뒤쪽으로 송정해수욕장이 늘어서 비경이 한결 돋보인다. 천하마을은 상주면과 미조면의 경계지역의 마을로 20 가구 정도되는 작은 마을이다. 수령 수백 년 된 느티나무로 한결 여유로움을 더해주는 마을이다. 특별한 볼거리는 없지만 마을 끝에 자리한 몽돌해변은 매력적이다. 川下마을은 내 아래에 있는 마을이란 뜻으로, 바다로 흘러드는 하천이 있다. 미조면민의 식수원인 .. 2025. 2. 20.
남해로 가는 길 .... 2005.08.01 사천시를 지나며   진주에서 3번 국도를 따라 남쪽으로 향한다. 사천에 들어서서 계속 내려가다 보면 좌측 편으로 범상치 않은 산세의 산을 만나게 되는데 이 산이 바로 와룡산이다. 높이만을 따지고 보면 거봉은 아니지만 웅장한 산세와 암반, 절벽으로 이루어진 모습은 명산으로서의 조건을 충분히 갖추고 있다. 와룡산은 한국의 많은 산악인들이 배출된 곳으로 해외등반을 위하여 체력을 단련하거나 암벽등반 훈련장소로 많이 이용되는 곳이다. 상사바위, 세섬바위 등은 깎아지른 절벽으로 특히 상사바위는 바로 밑을 바라볼 수 없을 만큼 아찔한 높이다, 경남지역과 전남지역의 클라이머들이 즐겨 찾는 곳으로 인기가 높다.   사천시를 지나면서 바라보는 와룡산의 모습    삼천포 대교   사천시에서 남해로 연결된 연육교가 있다. 1.. 2025. 2. 20.
충무공 김시민 장군 .... 2005.08.01 충무공  김시민 장군 동상  (높이 7m ) 충무공 김시민 장군의 호국 충절 정신을 계승하기 위해 건립한 진주 수호상으로 2001년 1월 1일 제막하였다.     김시민 장군과 진주성 임진왜란 때 왜적에게 최초로 대대적 승리를 거둔 곳이 바로 이곳 진주성이다. 그리고 그 주역이 충무공 김시민 장군이었다. 이때 왜적을 크게 물리친 진주성 대첩은 충무공의 한산대첩, 권율 장군의 행주대첩으로 더불어 임진왜란 3 대첩이라고 한다. ‘대첩(大捷)’은 크게 이긴 전투를 일컫는 것이다.  임진왜란 3대 첩지의 하나인 진주성과 김시민 장군.청사에 길이 남을 역사를 이루었으나 안타깝게도 현재는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 느낌이 없지 않다. 진주의 긍지를 태동시킨 진주성 대첩의 주역들이 ‘의기 논개’의 명성에 밀려 흔적조차 .. 2025. 2. 20.
진주성 서장대, 호국사, 창렬사, 북장대 .... 2005.08.01 서장대(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6호)진주성 서문의 지휘소이다. 여지도서(與池圖書)에 보면 회룡루(回龍樓)로 나오는데 규모는 작았으나 촉석루와 같이 다락집이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지금의 서장대는 1934년 독지가 서상필씨가 증건한 것이다.   호국사(전통사찰 제70호)고려시대 창건하여 내성사로 불리었으며, 임진왜란 때에는 승병의 근거지로 제2차 진주성전투에서 순국한 승병들의 넋을 기리기 위해 호국사란 이름으로 재건 되었다.    창렬사(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5호)임진왜란 당시 계사년(1593년) 제2차 진주성 전투에서 순절한 분들의 신위를 모시기 위해 선조40년(1607년)에 건립된 사액(賜額) 사당이다. 고종5년(1868년)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된 충민사에 모셔져있던 충무공 김시민장군의 신위와 삼장.. 2025. 2. 20.
진주성 3.1운동 기념비 .... 2005.08.01 강변산책로   박물관 입구의 잔듸밭. 성곽에서 바라본 진주시내 전경.. 3.1운동 기념비..  임진왜란 당시의 총통.. 2025. 2. 20.
진주성 의암, 의기사 .... 2005.08.01 의암 (경상남도 기념물 235호)위험한 바위라 하여 위암이라 불리다가 임진왜란 때 논개가 왜장을 끌어안고 남강에 투신하여 순국한 후 논개의 의로운 행동을 기리기 위하여 의암이라 부르게 되었다.     의기사(논개사당)(경상남도 문화재 자료 제7호)임진왜란 당시(1593년) 왜장을 껴안고 남강에 투신하여 순절한 논개의 넋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사당으로, 영조16년(1740년)에 경상우병사 남덕하가 창건 하였으며, 지금의 의기사는 의기창렬회가 시민의 성금을 모아 재건한 것이다.    쌍충사적비(경상남도 유형문화제 제3호)임진왜란의 의병을 모아 싸우다 순국한 재말장군과 정유재란때 전사한 그의 조카 재홍록장군의 충의를 새긴 비석이다. 2025. 2. 20.
진주성(촉석루) .... 2005.08.01 촉석루   (경상남도 문화재 자료 제8호) 진주의 상징이자 영남 제일의 명승이다. 전시에는 장졸을 지휘하던 지휘소로 평시에는 선비들이 풍류를 즐기던 곳이다. 고려 고종(1241년) 창건된 이래 수차례 중건 중수를 거듭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광해군 10년(1618년)에 이전보다 웅장한 건물로 중건하여 1948년 국보로 지정되었으나 1950년 625 동란으로 다시 불탔으며,  지금의 건물은 1960년  진주고적보건회가 시민의 성금으로 증건 하였다. 정면 5칸 측면 4칸의 팔짝지붕 누대로 촉석루란 이름은 돌이 강 가운데 우뚝 솟아 있다하여 붙인 이름이며, 남장대 또는 장원루라 부르기도 하였다. 2025. 2. 20.
진주성(촉석문) .... 2005.08.01 진주성(晋州城)   사적 제118호                       진주성관리사무소 055-749-2480 진주성은 외적을 막기 위하여 삼국시대부터 조성한 성으로 진주의 역사와 문화가 깃든 유서 깊은 곳이다. 고려말 우왕 5년(1379년)에 진주목사 김종광이 잦은 왜구의 침범에 대비하여 본래 토성이던 것을 석성으로 고쳐 쌓았으며, 임진왜란 직후에는 성의 중앙에 남북으로 내성을 쌓았다. 선조 25년(1592년) 10월 왜군 2만여 명이 침략해 오자 김시민 장군이 이끄는 3800여 명의 군사와 성민이 힘을 합쳐 물리쳤으니 이것이 임진왜란 3 대첩의 하나인 진주대첩이다. 이듬해 6월에는 왜군 10만여 명이 다시 침략해 옴에 7만 민, 관, 군이 이에 맞서 싸우다 모두 순국하는 비운을 겪기도 하였다. 1.. 2025. 2. 20.
진주 남강에서 .... 2005.08.01 흐르는 남강의 맑은 물위에 해가 지면 반짝반짝 별이 흐르고흐르는 남강의 맑은 물위에 해가 지면 밝은 달이 떨어지고요 흐르는 남강의 맑은 물결은 해가 지면 별님 달님 싣고갑니다 이 시는 최계락 시인이 진주중학교 3학년 때인 1947년에 발표한 것이다. 최계락 시인의 문학세계를 기리는 진주의 시인과 문학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남강이 바라보이는 신안동 녹지공원에 세운 시비는 진주의 유일한 최계락 시인의 문학현장인 셈이다. 2025. 2. 20.
당진 장고항 실치회 .... 2005.04.03 서산 팔봉산 산행을 마치고 돌아오는 길에당진 장고항 포구에 들러서 실치회를 맛보고 왔습니다. 당진 시내에는 4월 8일부터 10일까지 3일간 실치회 축제가 열린다는 플래카드가 곳곳마다 걸려 있었습니다. 봄철의 미각을 돋아주는 별미로 장고항에서 처음 먹기 시작하여지금은 특색음식으로 당진 8미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네요. 실치회는 주로 3월~ 5월까지 대략 두 달간 먹을 수 있는 봄철 식품으로4월 초순경에 잡히는 실치가 회로 먹기에 가장 적당하답니다.5월 중순 이후에 뼈가 굵어지고 억세어지게 되면뱅어포로 만들어서 요리를 해 먹는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양념으로 초고추장에 오이, 당근, 배, 깻잎, 미나리 등의 야채와 참기름,참깨를 넣어서 실치회에 무쳐 먹는데 연하고 담백한 맛에 반하게 됩니다. 2025. 2. 20.
해뜨는 집에서 .... 2005.02.13 남애항 부근 어느 해변가 민박집에서의 일출 광경  군 복무 중인 아들넘 ...지금은 휴가 중 2025. 2. 20.
정동진에서 .... 2005.02.12 선크루즈 조각공원에서...   선크루즈 전망대에서 바라본 정동진 풍경  여체 조각상... 2025. 2. 20.
부산 암남공원 .... 2004.08.03 암남공원은 부산의 번화가인 남포동에서 불과 4㎞에 불과하다. 옛날엔 혈청소 입구로 불리던 이 길은 해안절경이 빼어난 데다 송도 해안과 부산 남항을 한눈에 담을 수 있는 전망대다. 지난 97년 조사에 따르면 암남공원의 식물은 모두 374종인데 온대 수림 종인 곰솔, 오리나무, 굴피나무가 주종이고, 공원 동쪽사면엔 난대 종인 후박나무와 천선과나무가 군락을 이뤘다. 공원의 남단 두도엔 동백나무 군락이 사람 손 한번 타지 않고. 천연 그대로 남아있다. 이 나무들이 쏟아내는 피톤치드 성분은 방문객들에게 삼림욕 효과를 선물한다. 암남공원의 숲들 중 상당 부분은 100년 이상 자생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입장료를 받지 않는 암남공원의 주말 평균 입장객이 3천여 명이며 바닷가 절벽들엔 하나같이 1억 3천만 년의 역사가.. 2025. 2. 20.
간절곶 .... 2004.08.02 간절이란 명칭은동해 먼바다를 항해하는 어부들이 동북이나 서남에서 이곳을 바라보면 긴 간짓대처럼 보인다고 해서 간절의 끝이라고 불렀던 것인데 한자로 艮絶이라 표기되어 왔다. 곶(串)이란 육지가 뾰족하게 바다로 돌출한 부분을 가리키는 순수 우리말로 옛날 신라시대부터 고차(古次) 또는 곶이라고 써 왔다.  또 한편으로 간절곶(竿切串)이라고 하는데, 간(竿)은 짓대를 의미하는 것이고, 절(切)은 길다(永)의 방어 「질」의 차음이니, 간짓대처럼 길게 나온 곶이라는 뜻을 가졌다. 이 곳을 조선초에는 이길곶(爾吉串)이라 하였는데, 이(爾)가 가지고 있는 뜻은 넓다이며, 길(吉)은 길(永)다 하는 말의 차음(借音)이니 넓고 길게 튀어나온 곶이라는 뜻이다.소재지 : 울산광역시 울주군 서생면 대송리 28-1가는 길 : 해.. 2025. 2. 20.
진하해수욕장 .... 2004.08.01 진하 해수욕장 ~ 울산에서 동남쪽으로 24km 거리에 있는 길이 1km, 폭은 300m의 해수욕장으로 수심이 얕고, 넓은 모래사장과 소나무 숲이 장관이며, 앞바다에는 명선도가 있어 주변의 소나무 숲과 함께 아름다운 조화를 이루고, 시원스러운 파도소리를 들을 수 있는 곳이다. 하루 수용인원이 5만여 명이며, 전국 각지에서 찾아온 피서객들로 만원을 이룬다. 백사장 뒤편에는 소나무 숲이 짙은 그늘을 드리우고 있고, 해수욕으로 거칠어진 호흡을 가다듬기에 더없이 좋은 휴식처다.전국에서 수질이 제일 좋다는 평판과 함께 울산에서 20분, 부산에서 40분대면 닿을 수 있어 교통이 편리한 장점을 갖고 있다. 부산 해운대, 송정, 일광해수욕장으로 연결되는 해수욕장으로 96,000평방미터의 넓은 백사장이 돋보이고, 사진작가.. 2025. 2. 2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