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양도성박물관(서울 종로구) .... 2025.07.05
낙산공원 성곽길을 돌아보고 나서 한양도성박물관에 들러봤다. 서울특별시 산하의 박물관으로 2014년 7월 31일 개관하였다. 한양도성의 역사와 문화에 관련된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낙산공원 성곽 내부 디자인재단 건물에 있으며, 서울역사박물관의 분관이다. 3개 층을 사용하고 있으며, 1층은 상설전시실, 2층은 기획전시실, 한양도성자료실, 학습실, 3층은 상설전시실 2·3으로 구성되어 있다.
1층 전시실
수선전도(首善全圖) 모형
한양도성 순성길
조선의 수도였던 한성의 주위를 둘러싼 성곽과 문을 따라 걷는 도보길이다. 여섯 구간으로 조성되어 있으며, 총거리는 23km가령이다. 한양도성에 4대문과 4소문이 있는데, 4대문은 북쪽에서부터 시계방향으로 숙정문, 흥인지문, 숭례문, 돈의문이고, 4소문은 서북에서부터 시계방향으로 창의문, 혜화문, 광희문, 소의문이다. 이 중 돈의문과 소의문은 멸실되었다. 또한 도성 밖으로 물길을 잇기 위해 흥인지문 남쪽에 오간수문과 이간수문을 두었다.
각자석성탁본
2층 전시실
3층 전시실
한양도
신증동국여지승람 & 삼봉집
주례
도성연융북한합도
북한성도
시대별 축성방식
목수의 도구(1950~1960년)
성벽 축조 과정
경조오부도
도성도
호패 & 대전통편
도성삼군문분계지도
부험
육모방망이 : 조선시대 순라군이 지니고 다니던 타격기, 단단한 박달나무 재질이며, 육모 또는 팔모로 다듬었다.
꼭두 : 상여 난간에 세우는 장식물, 죽은 사람을 안전하게 저승으로 인도하거나 지승에서의 새로운 삶을 소망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 순성기행
1879년(고종 16)에 어느 유생이 한양도성을 순성하고 작성한 기행문이다. 한양도성 주변의 경관을 사실적으로 기록하였다. 새벽부터 일어나 흥인지문으로부터 낙산, 혜화문, 숙정문, 백악(북악산), 창의문을 거쳐 인왕산에 이르는 경로로 순성한 내용을 담고 있다.
기와 & 밤방전 & 진단구
야간수문 이음쇠 & 돌거북
홍인지문 장식기와
옥외전시물